본문 바로가기

인공지능5

「수학을 읽어드립니다」 - 남호성 수학이 이랬더라면 수포자가 되지 않았을까 수학을 읽어드립니다‘수포자’라는 단어는 이제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 대다수의 학생들에게, 또 학창 시절을 거쳐 온 많은 사람들에게 어느새 너무도 익숙한 용어가 되어버렸다. 왜 우리는 수포자가 되어야만 했을까? 이대로 수포자가 된 채 살아가도 괜찮은 걸까? 여기, 대학교 영어영문과 수업 시간에 이미 수포자 바이러스에 걸려 있을 대부분의 문과생들을 상대로 수학을 가르치는 별난 교수가 있다.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이자 예일대학교 해스킨스 연구소 시니어 과학자인 저자는 매일 수학을 공부하며, 학생들에게 함수와 미분, 행렬과 벡터 같은 수학을 가르친다. 그는 어쩌다가, 도대체 왜, 이런 일을 하게 된 걸까? 〈수학을 읽어드립니다〉는 학창 시절 수학이 싫어서 자발적.. 2024. 6. 30.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로 읽는 미래 스포츠 이야기」- 천제민 기술과 만난 스포츠가 나아갈 길 인공지능과 빅데이터로 읽는 미래 스포츠 이야기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아 가는 우리에게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 최첨단 ICT기술이 스포츠 현장의 패러다임을 어떻게 바꿔 놓고 있는 지, 최신 국내외 사례를 통해 흥미롭게 소개하였다. 동시에 해당 사례에 접목된 최신 ICT 기술의 용어 해설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정보통신 사전’을 이용하여 쉽고 간략하게 풀어냄으로써 스포츠와 ICT 간 융합 서비스에 대한 기초 지식과 견문을 넓힐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마련하고자 했다. 저자 천제민 출판 부크크(Bookk) 출판일 2023.08.22 올해 2023년은 야구계에서 상당히 인상적인 해였는데, 한국시리즈에서 LG 트윈스가 29년만의 우승을, 미국의 월.. 2023. 12. 25.
「앨런 튜링, 지능에 관하여」- 앨런 튜링 언젠가 기계도 생각할 수 있을까? 앨런 튜링, 지능에 관하여 앨런 튜링의 주요 논문 다섯 편을 수록했다. 최초의 인공지능 선언문 [지능을 가진 기계](1948), 가장 유명한 [계산 기계와 지능](1950)을 비롯해 모두 인공지능에 관한 논문들이다. 튜링의 시대에는 ‘인공지능’이라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 다섯 편의 논문에는 기계 학습, 신경망, 유전 알고리즘 등 현대 인공지능의 토대가 되는 개념들이 이미 심도 깊게 논의되고 있다. 튜링은 [계산 기계와 지능]에서 흉내 게임(이미테이션 게임)을 처음으로 제안했는데, 이는 인공지능 구현의 척도로서 ‘튜링 테스트’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져 지금도 도전의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같은 논문에 ‘학습하는 기계’라는 오늘날 ‘머신 러닝’의 아이디어가 .. 2022. 12. 14.
「인공지능 시대, 인간 통역 40년을 돌아보다」- 곽중철 인공지능은 인간의 통번역을 대체할 수 있는가 인공지능 시대, 인간 통역 40년을 돌아보다 40년 통역 인생, 그 짜릿했던 기억들 1983년 파리 유학에서 돌아와 올림픽조직위, 대통령비서실, YTN 등에서 통역 현업을 마치고 1999년 모교에 임용되었을 당시 조그만 출판사를 경영하던 아내가 book.naver.com 이 책의 저자로 말할 것 같으면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에 1기로 입학하여 한평생을 통역, 번역에 바친 대한민국 1세대 통역사이다. 무려 40년 동안 통역 업무에 종사하다 보니 국내 가장 대표적인 통역사가 된 것은 물론, 다양한 국제회의에 참여하며 그야말로 한국 현대사를 몸으로 겪어 온 인물이기도 하다. 대통령만 해도 여러 명을 직접 만난 적 있으며, 2002 월드컵이나 대구 세계육상대회 .. 2021. 2. 8.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아서 C. 클라크 인간과 AI와 모노리스, 인류 진화의 종착점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아서 C. 클라크 탄생 100주년을 맞아 새롭게 만나는 완전판 「스페이스 오디세이」!인류 진화에 대한 통찰과 우주를 향한 무한한 상상력이 담긴 아서 C. 클라크의 대표작인 「스페이스 오디세이 book.naver.com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는 아서 C. 클라크의 단편을 바탕으로 스탠리 큐브릭이 만든 동명의 영화 를 다시 소설로 옮겨 쓴 작품이다. 영화와 소설 간 묘사에 제법 차이가 있지만, 영화에도 아서 C. 클라크가 참여했으며, 소설을 쓰는 데에도 스탠리 큐브릭이 도움을 주었다고 하니 실질적으로 영화와 소설 모두가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라고 할 수 있다. 보먼이 도착한 장소가 목성인지 토성인지는 크게 중요하지 않고, .. 2021. 1. 17.